티스토리 뷰

 

 

 

 

 

 

목차

     

     

     

     

     

     

     

    가난한 이들에게 교회의 재산을 나눠주는 성 라우렌시오(Laurentius)

     

     

     

    [녹] 연중 제33주일 (세계 가난한 이의 날, 11월 17일)

     

    프란치스코 교황께서는 2016년 11월 ‘자비의 희년’을 폐막하며 연중 제33주일을 ‘세계 가난한 이의 날’로 지내도록 선포하셨다. 이날 교회는 가난한 이들을 위한 우선적 선택의 모범을 보여 주신 예수님을 본받아, 모든 공동체와 그리스도인이 가난한 이들을 향한 자비와 연대, 형제애를 실천하도록 일깨우고 촉구한다.

     

     

    오늘 전례 

    오늘은 연중 제33주일이며 세계 가난한 이의 날입니다. 주 하느님께서는 주님의 백성을 보살피시니, 우리에게 믿음을 더해 주시어 잠에서 다시 깨어나게 하실 것입니다. 성령의 도움으로 날마다 열심히 사랑을 실천하며, 그리스도께서 영광스럽게 나타나시어 뽑힌 이들을 모두 주님 나라에 모아 주시기를 기다립시다.

     

    입당송 예레 29,11.12.14 참조

    주님이 말씀하신다. 나는 재앙이 아니라 평화를 주노라. 나를 부르면 너희 기도를 들어 주고, 사로잡힌 너희를 모든 곳에서 데려오리라.

     

    본기도 

    주 하느님,
    저희를 도와주시어
    언제나 모든 선의 근원이신 주님을 기쁜 마음으로 섬기며
    완전하고 영원한 행복을 누리게 하소서.
    성부와 성령과 함께 천주로서
    영원히 살아 계시며 다스리시는 성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제1독서

    <그 때에 네 백성은 구원을 받으리라.>
    ▥ 다니엘 예언서의 말씀입니다.12,1-3
    1 그때에 네 백성의 보호자 미카엘 대제후 천사가 나서리라.
    또한 나라가 생긴 이래 일찍이 없었던 재앙의 때가 오리라.
    그때에 네 백성은, 책에 쓰인 이들은 모두 구원을 받으리라.
    2 또 땅 먼지 속에 잠든 사람들 가운데에서 많은 이가 깨어나
    어떤 이들은 영원한 생명을 얻고,
    어떤 이들은 수치를, 영원한 치욕을 받으리라.
    3 그러나 현명한 이들은 창공의 광채처럼
    많은 사람을 정의로 이끈 이들은 별처럼 영원무궁히 빛나리라.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화답송시편 16(15),5와 8.9-10.11(◎ 1 참조)

    ◎ 주님, 저를 지켜 주소서. 당신께 피신하나이다.
    ○ 주님은 제 몫의 유산, 저의 잔. 당신이 제 운명의 제비를 쥐고 계시나이다. 언제나 제가 주님을 모시어, 당신이 제 오른쪽에 계시니 저는 흔들리지 않으리이다. ◎
    ○ 제 마음 기뻐하고 제 영혼 뛰노니, 제 육신도 편안히 쉬리이다. 당신은 제 영혼 저승에 버려두지 않으시고, 당신께 충실한 이에게 구렁을 보지 않게 하시나이다. ◎
    ○ 당신이 저에게 생명의 길 가르치시니, 당신 얼굴 뵈오며 기쁨에 넘치고, 당신 오른쪽에서 길이 평안하리이다. ◎

    제2독서

    <그리스도께서는 한 번의 예물로 거룩해지는 이들을 영구히 완전하게 해 주셨습니다.>
    ▥ 히브리서의 말씀입니다.10,11-14.18
    11 모든 사제는 날마다 서서 같은 제물을 거듭 바치며 직무를 수행하지만,
    그러한 것들은 결코 죄를 없애지 못합니다.
    12 그러나 그리스도께서는 죄를 없애시려고 한 번 제물을 바치시고 나서,
    영구히 하느님의 오른쪽에 앉으셨습니다.
    13 이제 그분께서는 당신의 원수들이 당신의 발판이 될 때까지 기다리고 계십니다.
    14 한 번의 예물로, 거룩해지는 이들을 영구히 완전하게 해 주신 것입니다.
    18 이러한 것들이 용서된 곳에는
    더 이상 죄 때문에 바치는 예물이 필요 없습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환호송루카 21,36 참조

    ◎ 알렐루야.
    ○ 너희는 사람의 아들 앞에 설 수 있도록 늘 깨어 기도하여라.
    ◎ 알렐루야.

    복음

    <사람의 아들은 자기가 선택한 이들을 사방에서 모을 것이다.>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3,24-32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24 “그 무렵 큰 환난에 뒤이어 해는 어두워지고 달은 빛을 내지 않으며
    25 별들은 하늘에서 떨어지고 하늘의 세력들은 흔들릴 것이다.
    26 그때에 ‘사람의 아들이’ 큰 권능과 영광을 떨치며
    ‘구름을 타고 오는 것을’ 사람들이 볼 것이다.
    27 그때에 사람의 아들은 천사들을 보내어,
    자기가 선택한 이들을 땅끝에서 하늘 끝까지 사방에서 모을 것이다.
    28 너희는 무화과나무를 보고 그 비유를 깨달아라.
    어느덧 가지가 부드러워지고 잎이 돋으면 여름이 가까이 온 줄 알게 된다.
    29 이와 같이 너희도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는 것을 보거든,
    사람의 아들이 문 가까이 온 줄 알아라.
    30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이 세대가 지나기 전에 이 모든 일이 일어날 것이다.
    31 하늘과 땅은 사라질지라도 내 말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32 그러나 그 날과 그 시간은 아무도 모른다.
    하늘의 천사들도 아들도 모르고 아버지만 아신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보편 지향 기도

    <각 공동체 스스로 준비한 기도를 바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교회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진리의 빛이신 주님, 주님의 백성인 교회를 굽어살피시어, 빛과 어둠이 함께 머무는 세상 속에서 주님의 진리를 밝히고, 구원의 희망을 전하며, 참사랑을 실천하게 하소서.

    2. 정치인들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의로우신 주님, 정치인들에게 정의와 지혜의 은총을 주시어, 살기 좋은 나라와 국민의 행복을 위하여 힘쓰며, 공동선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실현하게 하소서.

    3. 굶주리는 이들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보호자이신 주님, 경제적 어려움으로 굶주리는 이들을 굽어보시어, 이웃과 사회 구성원들이 사랑과 나눔을 실천하게 하시며, 모든 이가 더불어 사는 세상 속에서 위로를 얻게 하소서.

    4. 지역 사회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인자하신 주님, 저희 지역 모든 이의 마음을 활짝 열어 주시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서로서로 필요한 존재임을 깨닫고, 저마다 가진 것을 나누며 기뻐하게 하소서.

    예물 기도 

    주님,
    지극히 높으신 주님께 바치는 이 예물을 굽어보시어
    저희가 오롯이 주님을 사랑하며 살다가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감사송

    <연중 주일 감사송 3 : 사람이신 그리스도를 통한 인류 구원>
     
    거룩하신 아버지, 전능하시고 영원하신 주 하느님,
    언제나 어디서나 아버지께 감사함이
    참으로 마땅하고 옳은 일이며 저희 도리요 구원의 길이옵니다.
    아버지께서는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주님의 무한한 영광을 보여 주셨으니
    그리스도의 천주성으로
    죽을 운명을 지닌 인간을 도와주시고
    그 인성으로 저희를 죽음과 멸망에서 구원하셨나이다.
    그리스도를 통하여
    주님 앞에서 천사들의 군대가 영원히 기뻐하며
    주님의 위엄을 흠숭하오니
    저희도 환호하며 그들과 소리를 모아 주님을 찬미하나이다.

    영성체송 시편 73(72),28

    저는 하느님 곁에 있어 행복하옵니다. 주 하느님을 피신처로 삼으리이다.
    <또는>
    마르 11,23.24 참조
    주님이 말씀하신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가 기도하며 청하는 것은 무엇이든 이미 받은 줄로 믿어라. 너희에게 그대로 이루어지리라.

    영성체 후 묵상 

    “그 날과 그 시간은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이 세대가 지나기 전에 사람의 아들이 오시어, 선택한 이들을 사방에서 모으실 것이라고 하십니다. 무화과나무를 보고 비유를 깨달으라고 하신 예수님의 말씀대로, 사람의 아들이 문 가까이 온 줄 알 수 있도록 깨어 기다립시다.

    <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루는 가운데 잠시 마음속으로 기도합시다.>

    영성체 후 기도 

    주님,
    이 거룩하신 성체를 받아 모시고 간절히 비오니
    성자께서 당신 자신을 기억하여 거행하라 명하신 이 성사로
    저희가 언제나 주님의 사랑을 실천하게 하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오늘의 묵상 

    교회는 오늘 ‘세계 가난한 이의 날’을 기념하며, 가난의 의미를 되새기고, 가난한 이들과 깊은 형제애를 나누도록 촉구합니다. 그리스도와 가난은 깊은 관계가 있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부유하시면서도 가난하게 되시어(2코린 8,9 참조), 가난한 이들에게 파견되셨습니다(루카 4,18; 19,10 참조). 교회가 ‘세계 가난한 이의 날’을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의 바로 전 주일에 기념하는 것도 그리스도와 가난의 깊은 관련성 때문일 것입니다. ‘세계 가난한 이의 날’에 가난의 의미를 잘 새기면서, 그리스도왕 대축일을 참되게 거행할 수 있게 하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왕권은 헐벗고 모든 것을 빼앗긴 십자가의 가난에서 그 의미가 가장 잘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교회는, 성부께 자신을 온전히 내맡기시면서 가장 낮은 자로서 세상을 섬기신 그리스도의 가난을 따라야 합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교회가 그리스도의 가난을 닮아야 한다고 천명합니다. 예수님께서 가난한 이가 되셨듯이 교회도 비우고 버려야 하고, 그리스도께서 가난과 박해 속에서 구원 활동을 완수하셨듯이 그렇게 교회도 똑같은 방식으로 구원 활동에 참여해야 하며, 그리스도께서 가난한 이들에게 파견되셨듯이 교회도 고통받는 사람을 찾아가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특히 가난한 이들 안에서 그리스도의 고통받는 모습을 알아보고, 그들 안에서 그리스도를 섬겨야 함을 강조합니다(교회 헌장, 8항 참조).
    교회는 그리스도의 가난을 닮아야 합니다. 이러한 가난을 자기 것으로 할 때, 모든 것을 하느님 뜻에 맡기며 보호와 도움을 구하는 이웃에게 나아갈 수 있습니다. 가난한 이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책임은 교회가 그리스도의 가난을 간직할 때 시작합니다. 

    (최정훈 바오로 신부)

     

     

     

     

    처: 가톨릭 굿뉴스 & 한국 천주교중앙협의회

     

     

     

     

     

     

     

    ▶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8차 세계 가난한 이의 날 담화

     

    가난한 이들의 기도는 하느님께로 올라갑니다(집회 21,5 참조)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1. 가난한 이의 기도는 하느님께로 올라갑니다(집회 21,5 참조). 2025년 정기 희년을 기다리며 기도에 봉헌된 올해에, 성경 지혜의 이 구절은 11월 17일에 거행될 제8차 세계 가난한 이의 날을 준비하는 우리에게 가장 적절한 말씀입니다. 사실, 그리스도인의 희망은 우리의 기도가 하느님 앞에 다다른다는 확신을 담고 있습니다. 그저 어떤 기도가 아니라, 가난한 이의 기도가 하느님께 닿는다는 확신을 포함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날마다 만나는 가난한 이들의 얼굴과 그들의 이야기에 비추어 이 말씀을 성찰하고 ‘읽어’ 봅시다. 그렇게 할 때에 기도는 그들과 친교를 이루고 그들의 고통을 나누는 길이 될 수 있습니다.

     

    2. 지금 우리가 이야기 나누고 있는 집회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특히 인류가 하느님과 세상과 맺는 관계를 비롯하여 그 주제들의 풍성함은 밝혀져야 마땅합니다. 집회서의 저자 벤 시라는 교사이자 예루살렘의 율법학자였고, 기원전 2세기경 이 책을 저술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는 이스라엘 전통에 깊이 뿌리내린 지혜로운 사람이었으며 일, 가정, 사회생활과 젊은이 교육 등, 인간 삶의 다양한 측면에 대하여 가르쳤습니다. 하느님에 대한 신앙과 율법의 준수에 관한 여러 주제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그는 오늘날 우리와도 큰 관련이 있는 주제들인 자유, 악, 하느님의 정의라는 까다로운 주제들을 다루었습니다. 벤 시라는 성령의 감도를 받아, 하느님과 우리 형제자매들의 눈에 지혜롭고 존엄한 삶을 살아가기 위하여 따라야 할 길을 모든 이에게 짚어 주려 하였습니다.

     

    3. 이 거룩한 성경 저자가 대단히 주의를 기울인 주제들 가운데 하나는 기도입니다. 큰 열정을 가지고 그렇게 한 이유는 자신의 개인적 경험에서 우러난 것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날마다 하느님의 현존 안에 머무르면서 그분 말씀에 귀를 기울이는 사람이 작성하지 않는다면, 기도에 관한 그 어떠한 글도 효과적이고 풍성할 수 없습니다. 벤 시라는 자신의 젊은 시절부터 지혜를 구하였다고 밝힙니다. “내가 아직 젊고 떠돌이 생활을 하기 전에 나는 기도 가운데 드러내 놓고 지혜를 구하였다”(집회 51,13).

     

    4. 이 여정에서 그는 계시의 기본 진리들 가운데 하나를 발견합니다. 곧, 하느님께서는 가난한 이들의 고통 앞에서 그들을 위한 정의를 실현하시지 않고서는 ‘참지 못하실’ 정도로 가난한 이들은 하느님의 마음에 특별한 자리를 차지한다는 사실입니다. “겸손한 이의 기도는 구름을 거쳐서 그분께 도달하기까지 위로를 마다한다. 그는 지극히 높으신 분께서 살펴 주실 때까지 그만두지 않으니 그분께서 의로운 자들의 송사를 듣고 판결해 주신다. 주님께서는 머뭇거리시거나 악인들을 참아 주지 않으신다”(집회 35,21-22). 하느님께서는 주의를 기울이시고 돌보아 주시는 아버지이시기에 자녀들의 고통을 알고 계십니다. 아버지이신 하느님께서는 도움이 가장 필요한 이들, 곧 가난한 이, 소외된 이, 고통받고 잊힌 이들을 돌보아 주십니다. 하느님의 마음에서 배제된 이는 아무도 없습니다. 하느님 보시기에 우리는 모두 가난하고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하느님 없이 우리는 아무것도 아니기에, 우리는 모두 구걸하는 사람들입니다. 하느님께서 주지 않으셨다면 우리 목숨조차 없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얼마나 자주 생명의 주인인 것처럼 또는 생명을 정복해야만 하는 것처럼 살아갑니까! 세상의 사고방식은 우리에게 부의 축적을 위하여 사회 공통의 규범을 어기고 그 어떤 값을 치르고라도 이름을 떨치는 사람이 되라고 요구합니다. 이 얼마나 슬픈 망상입니까! 행복은 다른 이들의 권리와 존엄을 짓밟으면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전쟁이 낳은 폭력은 스스로를 모든 이보다 강하다고 자부하는 이들의 교만함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그러나 하느님 눈에 이들은 가엾은 사람들입니다. 무기와 관련된 그릇된 정책으로 얼마나 점점 더 많은 이가 가난해지고 있습니까! 얼마나 더 많은 무고한 희생자들이 생겨나고 있습니까!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현실에 등 돌릴 수 없습니다. 주님의 제자들은 이 ‘가장 작은 이들’ 한 사람 한 사람이 하느님 아드님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으며 우리의 도움과 그리스도인의 애덕의 표현을 체험해야 한다는 것을 압니다. “모든 그리스도인과 공동체는 가난한 이들이 사회에 온전히 통합될 수 있도록 가난한 이들의 해방과 진보를 위한 하느님의 도구가 되라는 부르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가난한 이들의 울부짖음을 귀담아 잘 들어주고 그들을 도와주어야 합니다”(「복음의 기쁨」, 187항).

     

    5. 기도에 봉헌된 이 해에, 우리는 가난한 이들의 기도를 우리의 것으로 삼아 가난한 이들과 함께 기도하여야 합니다. 이는 우리가 반드시 받아들여야 하는 도전이자 장려해야 할 필요가 있는 사목 활동입니다. 더 나아가, “가난한 이가 겪는 최악의 차별은 영적 관심의 부족이라는 것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상당수의 가난한 이들은 신앙에 특별히 열려 있습니다. 그들은 하느님을 필요로 합니다. 우리는 그들에게 하느님의 우정과 강복과 말씀, 성사 거행, 그리고 신앙의 성장과 성숙의 여정을 끊임없이 제공하여야 합니다. 가난한 이들을 위한 우리의 우선적 선택은 주로 특별하고 우선적인 종교적 관심으로 드러나야 합니다”(「복음의 기쁨」, 200항).

     

    이 모든 것이 구걸할 수 있는 용기를 가진 겸손한 마음을 요구합니다. 가난하고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할 준비가 되어 있는 마음입니다. 실제로, 가난과 겸손과 신뢰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참으로 가난한 이는 겸손한 이입니다. 아우구스티노 주교 성인은 이에 대하여 이렇게 말했습니다. “가난한 이는 자랑할 것이 아무것도 없지만, 부유한 이는 자만심과 맞서 싸워야만 합니다. 그러니 제 말을 귀담아들으시어, 참으로 가난하고 덕이 있으며 겸손한 이가 되십시오”(『설교집』[Sermones], 14,4). 겸손한 이는 자랑할 것과 권리를 주장할 것이 아무것도 없습니다. 이들은 스스로를 의지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아버지의 품에 안기기 위하여 뉘우치며 집으로 돌아온 방탕한 아들처럼(루카 15,11-24 참조) 하느님 앞에 서서 하느님의 자비하신 사랑에 호소할 수 있다고 굳건히 믿습니다. 의지가지없는 가난한 이는 하느님께 힘을 얻고 그분께 모든 신뢰를 둡니다. 사실, 겸손은 하느님께서 결코 우리를 버리지도 응답 없이 그냥 두지도 않으실 것이라는 신뢰를 낳습니다.

     

    6. 우리 도시에서 살아가며 우리 공동체의 일원인 가난한 이들에게 말씀드립니다. 이러한 확신을 잃지 마십시오! 하느님께서는 여러분 한 사람 한 사람에게 관심을 기울이시고 여러분 가까이에 계십니다. 하느님께서는 여러분을 잊지 않으시고 한시도 잊지 못하십니다. 우리 모두에게는 기도를 하여도 응답이 없는 듯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따금 우리는 우리를 고통스럽고 수치스럽게 만드는 비참한 처지에서 벗어나게 해 달라고 간청드리지만, 하느님께서는 우리의 부르짖음에 귀 기울이지 않으시는 듯합니다. 그런데 하느님의 침묵은 하느님께서 우리의 고통에 무심하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오히려 하느님의 침묵에는, 하느님과 그분 뜻에 우리 자신을 내어 맡기며 믿음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말씀이 담겨 있습니다. 집회서도 이 사실을 다음과 같이 증언합니다. ‘주님께서는 가난한 이들 편에서 판결하실 것입니다’(집회 21,5 참조). 따라서 바로 가난에서 가장 참다운 희망의 노래가 흘러나올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사실을 기억합시다. “내적 생활이 자기 자신의 이해와 관심에만 갇혀 있을 때, 더 이상 다른 이들을 위한 자리가 없어 가난한 이들이 들어오지 못합니다. 하느님의 목소리를 더 이상 들을 수 없고 그분 사랑의 고요한 기쁨을 느끼지 못하며 선행을 하고자 하는 열정도 식어 버립니다. …… 이는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마음에서 솟아오르는 성령 안에서 사는 삶도 아닙니다”(「복음의 기쁨」, 2항).

     

    7. 세계 가난한 이의 날은 이제 모든 교회 공동체의 정규 거행일이 되었습니다. 세계 가난한 이의 날은 가난한 이들의 기도에 귀 기울이고 그들의 현존과 필요를 인식하라는 도전 과제를 모든 신자에게 내어놓는, 그래서 결코 소홀히 여겨서는 안 되는 사목적 기회입니다. 이날은 가난한 이들을 구체적으로 돕는 계획들을 실행하고, 가장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하여 열정적으로 헌신하는 많은 자원봉사자에게 고마워하며 그들을 지원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가장 가난한 이들의 말을 귀담아듣고 그들을 지원하는 데에 헌신하는 사람들이 있음에 주님께 감사드려야 합니다. 이 일에 헌신하는 사제, 축성 생활자, 남녀 평신도는 그들의 증언을 통하여, 당신을 향하는 사람들의 기도에 응답하시는 하느님의 목소리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환영하고 포용할 때마다 하느님의 이 침묵이 깨집니다. 가난한 이들은 아직 우리에게 가르쳐 줄 것이 많습니다. 부를 최우선시하고 자주 물질 재화라는 제대 위에 인간 존엄성을 희생 제물로 바쳐 버리는 문화 속에서, 가난한 이들은 시류를 거슬러 헤엄치며, 삶의 본질이 그와는 전혀 다른 것임을 분명히 밝혀 주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기도의 진정성은 만남과 곁에 있어 줌으로 드러나는 애덕 안에서 확인됩니다. 기도가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겨지지 않는다면 헛된 것입니다. 실제로 “믿음에 실천이 없으면 그러한 믿음은 죽은 것입니다”(야고 2,17). 그런데 애덕도 기도가 없으면 이내 바닥이 드러나고 마는 자선 행위에 불과할 위험이 있습니다. “날마다 신실하게 기도하지 않으면, 우리의 행동은 공허해지고 그 깊은 본질을 잃어버리며 단순한 행동주의로 전락해 버립니다”(베네딕토 16세, 수요 일반 알현 교리 교육, 2012.4.25.). 우리는 이러한 유혹을 피하고, 생명을 주시는 성령에게서 흘러나오는 힘과 인내로 늘 깨어 있어야 합니다.

     

    8. 이러한 맥락에서 가난한 이들을 위하여 삶을 바친 콜카타의 마더 데레사 성녀가 우리에게 남긴 증언을 떠올려 보는 것도 아름다운 일입니다. 데레사 성녀는 우리 가운데 가장 작은 이들을 섬기는 사명을 위한 힘과 믿음을 바로 기도에서 길어 올렸음을 계속해서 거듭 밝혔습니다. 데레사 성녀는 1985년 10월 26일 국제 연합 총회에서 자신이 늘 손에 쥐고 다니던 묵주를 사람들에게 보여 주며 이렇게 연설하였습니다. “저는 그저 기도하는 가난한 수녀일 뿐입니다. 기도를 통하여, 예수님께서는 제 마음에 당신 사랑을 채워 주십니다. 그리하여 저는 거리에서 만나는 모든 가난한 이에게 그 사랑을 전해 줍니다. 여러분도 기도하십시오! 기도하면 여러분 곁에 있는 가난한 이들을 알아볼 것입니다. 그들은 여러분과 같은 아파트, 같은 층에 살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심지어 여러분의 집 안에도 누군가 여러분의 사랑을 기다리고 있을지 모릅니다. 기도하십시오. 그러면 여러분의 눈이 뜨이고 여러분의 마음은 사랑으로 충만해질 것입니다.”

     

    또한 이곳 로마에서 베네딕토 요셉 라브르(1748-1783) 성인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의 유해는 산타 마리아 아이 몬티 성당에 안치되어 신자들의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프랑스에서 로마로 순례를 온 그는 많은 수도원에서 거절당했고 생애 마지막 몇 년을 가난한 사람들 가운데에서 가난하게 지내면서, 성체 앞에서 기도하고 묵주 기도와 성무일도를 바치며 신약 성경과 『준주성범』(Imitatio Christi)을 읽으면서 시간을 보냈습니다. 그는 ‘하느님의 방랑자’로서, 정주하는 곳 없이 콜로세움 폐허의 한 귀퉁이에서 잤습니다. 그의 삶은 하느님께 올리는 끊임없는 기도였습니다.

     

    9. 성년을 향한 여정에서, 저는 모두 희망의 순례자가 되어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기를 권고합니다. “사랑의 섬세함”(「기뻐하고 즐거워하여라」, 145항)을 간직하는 것도 잊지 맙시다. 잠시 멈추고 가까이 다가가 작은 관심과 미소, 다정한 손길, 위로의 한 마디를 건넵시다. 이러한 몸짓들은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날마다 노력이 필요하고 흔히 드러나지 않으며 조용하지만 기도로 힘을 얻는 것입니다. 무기들의 우레 같은 굉음, 많은 무고한 부상자의 울부짖음, 수많은 전쟁 희생자의 침묵에 희망의 노래가 자리를 빼앗겨 버린 듯한 이 시대에, 우리는 하느님께 평화를 간청합니다. 우리는 평화가 부족한‘가난한 사람들’이기에, 소중한 선물인 평화를 받고자 양손을 내밀며, 이와 동시에 일상 삶 속에 다시 평화가 깃들게 하려고 노력합니다.

     

    10. 가장 작은 사람들을 대할 때 언제나 연대의 모습을 가장 먼저 보여 주신 예수님의 발자취를 따르는 우리는 그 어떤 상황에서도 가난한 이들의 벗이 되라는 부름을 받습니다. 바뇌에서 발현하시어 “나는 가난한 이들의 동정녀이다.”라는 잊지 못할 메시지를 남겨 주신 지극히 거룩하신 천주의 성모 마리아께서 이 여정에서 우리를 지켜 주시기를 바랍니다. 하느님께서 성모님의 겸손한 가난을 어여삐 여기시고 그분의 순종을 통하여 큰일을 이루어 주셨으니, 우리의 기도가 하늘에 올라가 하느님께서 들어 주시리라 확신하며 마리아께 우리의 기도를 맡겨 드립니다.

     

     

    로마 성 요한 라테라노 대성전에서

    2024년 6월 13일

    가난한 이들의 수호자,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 기념일

     

    프란치스코

     

     

    <원문: Message of His Holiness Pope Francis, 2024 World Day of the Poor, ‘The prayer of the poor rises up to God’ (cf. Sir 21,5), 2024.6.13., 이탈리아어도 참조>

     

    영어: https://www.vatican.va/content/francesco/en/messages/poveri/documents/20240613-messaggio-viii-giornatamondiale-poveri-2024.html

     

    이탈리아어: https://www.vatican.va/content/francesco/it/messages/poveri/documents/20240613-messaggio-viii-giornatamondiale-poveri-2024.html



     

     

      관련글 더보기 

     

    위령성월 기도문 (11월)

     

    위령성월 기도문 (11월)

    목차      [가톨릭 기도문 다운로드]  가톨릭  위령성월 기도문 (11월)  시편 130(129) 깊은 구렁 속에서    주님, 당신께 부르짖나이다. 주님, 제 소리를 들어주소서.    애원하는 제 소

    life.mninfo777.com

     

    [가톨릭기도문] 위령기도( 짧은연도)

     

    [가톨릭기도문] 위령기도( 짧은연도)

    목차         짧은 연도 (악보) [기도문 다운로드]    짧은 연도 (텍스트) [기도문 다운로드]  ╋ 지극히 어지신 하느님 아버지,    저희는 그리스도를 믿으며 살다가 이 세상을 떠난

    life.mninfo777.com

     

     

    [가톨릭기도문] 수험생을 위한 기도 (학부모용& 수험생용)

     

    [가톨릭기도문] 수험생을 위한 기도 (학부모용& 수험생용)

    + 시험을 앞둔 자녀를 위한 기도 온갖 슬기와 지식을 지니신 하느님 아버지, 주님의 자녀가 된 이 가정의 (        )가 이번 시험을 치를 수 있기까지 보살펴주신 은총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life.mninfo777.com

     

     

    [가톨릭] 미사 지향 신청 방법 ( 각 본당, 추모시설, TV매일미사)

     

    [가톨릭] 미사 지향 신청 방법 ( 각 본당, 추모시설, TV매일미사)

    목차      미사의 종류 : 생미사와 연미사   ▶생미사 살아 있는 이를 위하여 드리는 미사. 그러나 파문받은 자는 여기에서 제외된다. 신자들은 보통 가족·친지의 본명 축일이나 생일,회갑,

    life.mninfo777.com

     

    [가톨릭기도문] 십자가의 길 기도문, 기도하는 방법

     

    [가톨릭기도문] 십자가의 길 기도문, 기도하는 방법

    목차 [기도문 다운로드] 십자가의 길 기도문 (아무 때나 바칠 수 있지만 특별히 사순시기 금요일과 성금요일에는 마땅히 바쳐야 한다.) (먼저 깊이 뉘우치고 아래의 기도를 바친다.)  시작기도

    life.mninfo777.com

     

    [가톨릭기도문] 부모를 위한 기도문 & 자녀를 위한 기도문 (매일미사)

     

    [가톨릭기도문] 부모를 위한 기도문 & 자녀를 위한 기도문 (매일미사)

    목차   [기도문 다운로드]   부모를 위한 기도  인자하신 하느님,    하느님께서는 부모를 사랑하고 공경하며    그 은덕에 감사하라 하셨으니    저희가 효성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

    life.mninfo777.com

     

    [가톨릭기도문] 가경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 시복 시성 기도문

     

    [가톨릭기도문] 가경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 시복 시성 기도문

    목차      [기도문 다운로드]   최양업 토마스 신부 시복 시성 기도문  지극히 좋으신 하느님최양업 토마스 가경자 사제님을박해로 고통받는 교회의 든든한목자로 세워 주셨음에 감사

    lux.pacem777.com

     

     

    [가톨릭] 2024 가톨릭 전례력 (다운로드), 사순시기, 부활시기, 연중시기, 대림시기, 성탄시기

     

    [가톨릭] 2024 가톨릭 전례력 (다운로드), 사순시기, 부활시기, 연중시기, 대림시기, 성탄시기

    목차          출처: 가톨릭 굿뉴스  [ 2024 가톨릭 전례력 다운로드]    가톨릭 전례력이란  전례력(Calendarium Liturgicum)은 가톨릭 교회에서 사용하는 달력으로 그리스도 구원 사업을 기념

    life.mninfo777.com

     

     

    [가톨릭기도문] 삼종기도, 부활삼종기도 (06시,12시, 18시)

     

    [가톨릭기도문] 삼종기도, 부활삼종기도 (06시,12시, 18시)

    목차 [기도문 다운로드] 삼종기도 ○ 주님의 천사가 마리아께 아뢰니 ● 성령으로 잉태하셨나이다. ○ “주님의 종이오니 ● 그대로 제게 이루어지소서!” ○ 이에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 저

    life.mninfo777.com

     

    [가톨릭기도문] 젊은이를 위한 기도문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 준비기도문)

     

    [가톨릭기도문] 젊은이를 위한 기도문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 준비기도문)

    목차 [기도문 다운로드] 젊은이를 위한 기도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 준비 기도문] ○ 젊은이들을 사랑하시는 하느님 아버지, 당신을 닮게 지으신 이들이 외아들을 내어주신 당신 사랑을 깨닫게

    life.mninfo777.com

     

    [가톨릭 기도문] 병자를 위한 기도문, 병자들의 수호성인께 청하는 9일기도

     

    [가톨릭 기도문] 병자를 위한 기도문, 병자들의 수호성인께 청하는 9일기도

    기도문(2개) 다운로드  + 병자를 위한 기도문   전능하시고 영원하신 하느님 아버지,아버지께서는 앓는 사람에게 강복하시고 갖가지 은혜로 지켜주시니주님께 애원하는 저희 기도를 들으시

    life.mninfo777.com

     

    [가톨릭기도문] 대송 (부득이 주일미사 참석 못할때 )

     

    [가톨릭기도문] 대송 (부득이 주일미사 참석 못할때 )

    목차       주님의기도 (주의기도)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히 빛나시며 아버지의 나라가 오시며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소서!

    life.mninfo777.com